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병행성 제어
- n-step
- Control variate
- Tree backup
- Meta Learning
- Reinforcement Learning
- Python Interpreter Lock
- Interpreter Lock
- Maximazation bias
- MAML
- Double learning
- Actor-Critic
- Maximum entropy
- 지속적 개발
- 통합 개발
- 도커 텐서보드 연결
- Global Interpreter Lock
- 강화학습
- 온폴리시
- Off-policy
- Concurrency Control
- 오프폴리시
- 파이썬 인터프리터 락
- 인터프리터 락
- 전역 인터프리터 락
- Few-shot learning
- docker tensorboard
- Soft Actor-Critic
- 중요도 샘플링
- Importance sampling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docker tensorboard (1)
HakuCode na matata

개념 및 배경 도커의 기본 시스템 구조(원리)를 기존에 가상화에 주로 사용되던 가상머신(VM)과 비교하여 도식화 한 것이다. 도커는 개별 파티션 구분에 기반한 별도 OS설치 없이 이미지 인스턴스화에 기반하여 보다 경량화된 모델로 다양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나의 환경은 Windows 10 - Ubuntu 20.04 - App으로 구성되어있고 Ubuntu상에서 Tensorboard를 실행하여 이를 Windows 10의 웹 브라우저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도커 컨테이너 실행(포트포워딩) 위와 같은 구조에 따라 도커 이미지의 인스턴스인 도커 컨테이너를 직접적으로 Local OS인 Windows 10과 연결해주기 위해서는 포트포워딩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위해 아래와 같은 명령으로..
Debugging/Docker
2022. 1. 26. 16:09